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백준 2003
-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
- UML
- 우테코
- 삼성
- 삼성 청년 sw아카데미
- 파이썬
- SSAFY
- 부트캠프
- 정보처리기사
- 코딩
- dfs
- 우테코 7기
- 프리코스
- 마이스터고
- SWEA
- 13기
- 비전공자
- 우테코 프리코스
- 싸피
- 백준
- 싸피 13기
- 취뽀
- 코테
- 정처기
- 삼성 부트캠프
- 코딩테스트
- 삼성청년SW아카데미
- 개발자
- 디자인패턴
- Today
- Total
목록코딩테스트 (59)
룰루코딩

문제솔루션while True : try : text = input() lower , upper, num, blank = 0,0,0,0 for i in range(len(text)) : if text[i] == " " : blank += 1 elif 65 깨달은 점일단 입력값으로 N을 받지 않기 때문에 try~ except문을 써주었다.그리고 하나하나 입력 받을 생각을 하였는데 찾아보니 훨씬 쉬운 방법이 존재했다.파이썬에 내장된 함수를 이용하면 쉽다.이런 함수들이 존재한다. while True: try: text = input() answer = [0] * 4 ..

문제솔루션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N = int(input())li = [tuple(map(int, input().split())) for _ in range(N)]min_diff = float('inf')for i in range(1, N + 1): for comb in combinations(li, i): sour = 1 bitter = 0 for s, b in comb: sour *= s bitter += b min_diff = min(min_diff, abs(sour - bitter))print(min_diff)깨달은 점문제가 처음에 이해가 안갔다..#입력41 7..

문제솔루션import heapqimport sysinput = sys.stdin.readlineN = int(input())heap=[]for _ in range(N): x = int(input()) if x != 0: heapq.heappush(heap, (abs(x), x)) else: if len(heap)==0: print(0) else: print(heapq.heappop(heap)[1])깨달은 점N = int(input())heap=[]for _ in range(N): x = int(input()) if x != 0: heap.append(x) else: if ..

문제솔루션N,L = map(int,input().split())li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li.sort()for i in li: if L>=i: L+=1print(L)깨달은점그리디 알고리즘이라는데 브론즈같은 실버문제였다.

문제솔루션N = int(input())switch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M = int(input())for _ in range(M): gender,num = map(int,input().split()) num -= 1 if gender ==1: for i in range(N): if (i+1) %(num+1)==0: switch[i]= 1 if switch[i]==0 else 0 elif gender == 2: switch[num] = 1 if switch[num] == 0 else 0 i = 1 while num - i >= 0 and num + i..

문제솔루션n = int(input())li = [[0]* 100 for _ in range(100)]for _ in range (n): a,b = map(int,input().split()) for i in range(a, a+10): for j in range(b, b+10): li[i][j]=1sum = 0for i in range(0,100): for j in range(0,100): if li[i][j]==1: sum +=1print(sum)깨달은점처음에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했는데이차원배열을 이용해야함!! 넓이의 겹치는 부분을 생각하지않고 이차원배열을 인덱스를 이용해1로 너비를 차지하는 부분 표시후 1의 값이 있는걸 ..

문제솔루션li = [int(input()) for _ in range(9)]for i in li: for j in li: if (sum(li)-i-j)==100: num1, num2 = i, j break li.remove(num1)li.remove(num2)for i in li: print(i)깨달은 점브루트포스 문제인데 7번 for문을 돌려야하나 했는데 반대로 생각해야했다!!for i in li: for j in li: if (sum(li)-i-j)==100:이렇게 총합에서 두개의 값을 뺐을때 100이 되는 경우를 찾으면 되는 브루트포스 문제였다. 또한 처음에는 if문 안에 remove를 넣었는데 va..

문제솔루션from collections import dequedx=[0,1,0,-1]dy=[1,0,-1,0]N,M = map(int,input().split())A= [[0]*M for _ in range(N)]visited = [[False]* M for _ in range(N)]for i in range(N): numbers = list(input()) for j in range(M): A[i][j] = int(numbers[j])def BFS(i,j): queue = deque() queue.append((i,j)) visited[i][j]=True while queue: now = queue.popleft() for k ..